각종서식|공고|정책|팁(38)
-
건강기능식품수입 판매업 신고절차
각 시군구 보건소 위생과 식품안전팀에서 신고를 진행합니다. 시설기준 건강식품 수입업 영업자 준수사항 건강기능식품의 수입·보존·유통시 보건위생상 위해가 없도록 보관시설 등을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위생적으로 관리하여야 한다. 영업신고증, 법 제14조제2항 및 제15조제2항에 따른 인정 서류(인정서가 있는 경우에 한정한다) 및 기능성 표시·광고사전심의필증을 비치·관리하여야 한다. 건강기능식품의 수입신고증, 선적서·내용명세서(송장) 및 판매 현황기록을 수입일로부터 2년간 보관하여야 한다. 다만, 유통기한이 2년 이상인 경우에는 유통기한 종료시까지보관하여야 한다. 건강기능식품 거래현황에 대하여 판매업소명, 제품명, 수량, 공급일자 등 거래명세내역과 반품처리내역 등을 비치하고 이를 2년간 보관하여야 한다. 유전자재..
2017.02.07 -
식품제조 가공업 신고절차입니다.
식품제조가공업이란 식품제조가공업 농·수·축·임산물을 원료로 식품 첨가물이나 다른 식품을 혼합·제조·가공하여 유통판매하는 영업 즉석판매제조가공업 영업장내에서 식품을 제조·가공하여 최종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영업을 말합니다. 각 시군구 보건소에 위치한 위생과 식품안전팀에 방문하셔서 신고하시면 됩니다. 아래는 식품제조·가공업 등 신고시 구비서류입니다.
2017.02.07 -
즉석판매제조 가공업의 시설기준 2016.12.26
-
식품제조.가공업의 시설기준 2016.12.26
-
개인사업자, 자영업자, 소상공인이 꼭 해야하는 세무신고의 종류
-부가가치세 -종합소득세 -원천세 (직원이 있는 경우) -지급명세서 신고 (직원이 있는 경우) 개인사업자라면 위 신고를 꼭 해야 합니다. (직원이 없는 경우에는 부가가치세, 종합소득세) 1월에는 부가가치세 신고, 5월에는 종합소득세 신고가 있으니 이점 꼭 유의 하시기 바랍니다. 부가가치세 신고방법은 간단하게 1. 홈택스를 통해 직접 하실 수 있으나 카드를 등록하지 않았다면 신고가 힘들며, 카드 항목 분류가 임의로 되어 다시 분류해야 하므로 초보자는 어렵고 절세하기 힘든 부분이 있습니다. 2. 세무사사무실을 이용할 경우 영수증을 꼼꼼하게 모아 믿음직한 세무사분에게 전달해 꼭 절세하시기 바랍니다. 3. 인터넷 세무신고프로그램을 통해 직접 장부를 쉽게 작성해서 월 1만원으로 부가세 신고, 종합소득세 신고를 원..
2016.12.25 -
쇼핑몰 전자지불시스템 PG사 선정기준
[쇼핑몰 창업 가이드] 쇼핑몰 전자지불시스템 PG(Pay Gate)사 알아보기 쇼핑몰 결제수단인 PG사는 쇼핑몰에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 왜냐면 바로 돈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여기서는 바로 이런 중요한 역활을 하는 PG사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흔히들 PG사는 어디로 해야하나요?란 질문을 많이 합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선택의 폭이 그렇게 다양하지는 않습니다. 먼저 PG사가 많지 않습니다. 요즘은 모바일 결제등이 생기면서 결제방법등이 다양해졌지만 여기서는 쇼핑몰 시작할때 선택할수 있는 PG사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PG사들도 일반 은행들처럼 많으면 경쟁도 되고 수수료도 경쟁되고 좋을텐데 많지가 않다보니 수수료도 어느정도 선에서 담합하듯 큰 차이가 없습니다. PG사 선택시 중요..
2016.1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