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12. 25. 20:57ㆍ각종서식|공고|정책|팁
[쇼핑몰 창업 가이드] 쇼핑몰 전자지불시스템 PG(Pay Gate)사 알아보기
쇼핑몰 결제수단인 PG사는 쇼핑몰에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
왜냐면 바로 돈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여기서는 바로 이런 중요한
역활을 하는 PG사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흔히들 PG사는 어디로 해야하나요?란 질문을 많이 합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선택의 폭이 그렇게 다양하지는 않습니다.
먼저 PG사가 많지 않습니다. 요즘은 모바일 결제등이 생기면서 결제방법등이 다양해졌지만
여기서는 쇼핑몰 시작할때 선택할수 있는 PG사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PG사들도 일반 은행들처럼 많으면 경쟁도 되고 수수료도 경쟁되고 좋을텐데 많지가 않다보니
수수료도 어느정도 선에서 담합하듯 큰 차이가 없습니다.
PG사 선택시 중요한 것은 바로 안전성 입니다
PG사는 고객이 결제한 돈을 안전히 보존 했다가 다음 정산시기에 업체에 주는 것이기때문에
만약 업체가 문제가 되면 정산을 못받을수 있는 문제가 일어나기 때문에
당연히 회사 자체가 튼실 해야겠죠. 저의 경우 쇼핑몰이 생긴지 몇년 안되었던 일이지만 수수료가 싸서
신생업체를 선택했던적이 있습니다. 그리고 푼돈으로 받으면 재미없어서
정산주기도 넉넉히 했는데 아뿔사 회사가 갑자기 망해버린겁니다. 부도가 난거죠
그래서 그당시 적지 않은 돈을 그냥 허공에 날렸습니다. 그래도 지금은
그보다 대다수의 업체들이 안전하고 보증보험등을 들어서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고는 있지만 검증되지 않은 업체들은 그런 단점이 있을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물론 지금의 업체들이 갑자기 부도나고 할 확률은 거의 없습니다
특히 메이크샵,카페24,고도몰등 솔루션사들과 제휴가 되어 있는 곳은
비교적 안전한 곳이라 할수 있습니다. 이미 PG사 매출이 안정되어 있는 곳들이라
망하기가 쉽지 않다고 보셔도 됩니다
그렇다면 몇곳 안되는 그 PG사 중에서 어디를 결정해야 하는가?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메이크샵,카페24,고도몰등 그래도 손가락안에 드는 솔루션사에
제휴가 되어 있는 곳이라면 가장 먼저 봐야할게 수수료입니다
예를들어 3.4%냐 3.5%냐 입니다
만약 가입비가 없다고 3.5%를 선택한다면 그건 잘했다고 볼수 없습니다
그 0.1%를 쇼핑몰 하는 동안 비싸게 내야한다면 세팅비,가입비등은 문제도 안되죠
그러니 가장먼저 수수료가 몇%를 잘 보셔야 하구요
소셜페이란? 판매할 상품을 등록 한후 구매하기 주소를 판매할 곳의 블로그,스토리채널, 카페, 사이트등에 붙여넣기 하시면
회원가입 No, PG별도가입 No, 수수료 No, 보증보험 No,SMS 무료
쇼핑몰(전자상거래)가 되는 주문서 결제 플랫폼입니다.
|
두번째로 봐야할 것이 정산주기입니다.
예를 들어 매일정산을 해야한다 하면 PG사 중에 매일정산이 되는 곳은
신청하시면 됩니다. 다만 정산주기를 생각할때 돈 받는 기간만 보는 것이 아니라
쇼핑몰 운용과도 잘 계산을 해보셔야 합니다. 예를 들어 불필요하게 정산주기를 짧게 잡으면
흐지부지 돈이 없어지는 경우도 생깁니다. 반대로 너무 넉넉히 잡으면 돈이 안돌아서
문제가 될때도 있습니다. 그러니 매출입을 잘 따져서 정산주기를 맞추시는게 원활히
쇼핑몰을 운용하는 방법 중에 하나입니다
AD
|
마지막으로 업체 규모와 역사를 보시면 됩니다
이니시스나 KSNET같은 경우는 쇼핑몰이 생기면서 부터 시작한 곳들이라 PG사 중에서는 비교적 인지도가 있습니다. 하지만 그 외에 올앳이나 KCP같은 경우도 후발 주자였지만 오랫동안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런 곳들은 그나마 다른 곳들에 비해서 비교적 안전하리라 하니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물론 절대적은 아닙니다..^^;
그리고 이 부분은 앞서 말한 부분에 비해서는 선택의 비중이 크지 않으니 참고만 해주셔도 됩니다.
PG사를 선택하고 쇼핑몰을 운용하다보면 정산금액을 잘 들어왔거니 하고 안맞춰보는 업체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간혹이지만 정산금액이 틀리거나 오류가 날때가 있습니다. 금액으로 보면 크지 않을수 있으나 그런 것을 누적되면 그 역시도 리스크이니 번거럽더라도 정산비용을 꼭 맞춰보시기 바랍니다. 특히 환불이나 결제취소등은 꼭 다시한번 보는 것이 좋습니다. 물론 현 PG사로 봤을때는 그럴일은 거의 없지만 이런 부분도 무시할수는 없습니다.
AD 소셜판매의 강자 소셜페이
|
작성자 버담소리
'각종서식|공고|정책|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품제조.가공업의 시설기준 (0) | 2016.12.26 |
---|---|
개인사업자, 자영업자, 소상공인이 꼭 해야하는 세무신고의 종류 (0) | 2016.12.25 |
간이과세자 자주 하는 질문 모음 (0) | 2016.12.24 |
직원의 종류 (0) | 2016.12.24 |
사업용 신용카드로 세금 절세하는 방법? (0) | 2016.12.23 |